2022년~23년 일간 반도체 기사

22년 9월 19일 반도체 기사

meteor_88 2023. 1. 8. 19:40

삼성전자 2분기 반도체 시장 점유율 확대…2 인텔과 격차 벌려

-지난해 인텔 제치고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 1위로 올라선 삼성전가자 올해 2분기 점유율을 더 늘릴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2분기 반도체 매출은 203억달러(약 28조 5천억)로, 견조한 서버 수요와 시스템반도체 사업 성장에 임입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였다.

             -삼성전자의 시간 점유율은 1분기 12.5%에서 12.8%를 기록했다.

             -인텔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11.1%에서 9.4%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1위 삼성전자와 2위 인텔간 점유율격차는 1.4%에서 3,4%로 벌어졌다

#삼성전자#인텔#점유율

 

 

삼성, 텔과 격차 벌렸지만 “3분기엔 TSMC 밀린다비관론도

-삼성전자는 2017년 처음 인텔을 추월해 2018년까지 1위를 지키다 2019-2020년 인텔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지난해 3분기 다시 삼성전자가 왕좌를 탈환해 4분기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이번 옴디아 조사 대상에는 파운드리 세계 1위인 TSMC가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TMCS의 올 3분기 매출을 전부기보다 11% 증가한 202억 달러로 전망하며 삼성전자를 제치고 세계 반도체 매출 1위에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렌드포스는 메모리 반도체 대표 제품인 소비자용 D과 낸드플래시의 3분기 가격이 2분기대비 13~18% 하락할 것이라 예상했다.

             -메모리뿐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인 CMOS 이미지 센서 시장이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와 ‘반도체 한파’는 최소 내년 말까지 지속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속적 투자롤 ‘해빙기’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삼전#인텔#TSMC

 

 

반도체 굴기삐끗’…올해 반도체 기업 3470 닫아

-올해 들어 중국에서 3000개 넘는 반도체 회사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SCMP 16일 중국 기업 데이터베이스 플랫통 치차차의 통계를 인용해 올 1~8월 ‘반도체’를 기업 또는 브랜드 명칭에 사용한 3470개 중국 기업이 사업 등록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반도체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새로운 기업이 시장에 안착하기 어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도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등으로 중국견제에 나선 상황이라 중국내 반도체 산업의 부담이 커졌다.

 #중국#반도체굴기

 

 

삼성전자 주가는 별로인데 세계 반도체 투자는 폭증 이러는 걸까

-마이크론은 150억달러를 투자해 2025년부터 D램을 본격 생산할계획 이라며 단기적으론 반도체 수요가 어렵겠지만 2030년까지 메모리 매출은 두배로 증가할 것이라 밝혔다.

D,낸드플래시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연일 하락하는 중에도 메이저 반도체 회사들은 공격적인 시설 투자에 나서고 있다.

             -공장 건설에 긴 시간이 필요한 만큼 미래 업황 반등을 예상하고 베팅에 나선 것이다.

             -업계에선 2025년엔 반도체 시장에 다시 봄이 찾아올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전자도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인 평택캠퍼스에 최대규모 3라인을 올해 완공한다.

-최근 신규 착공하는 반도체 공장들은 대부분 2025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 전문가들도 메모리 반도체의 하락 사이클이 최소한 내년까지는 이어지고 2024~2025년에는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전자#주가#반도체투자

 

 

똘똘 뭉친 대기업 "도시바 해외 매각 막자"

-일본을 대표하는 전자기업 도시바가 해외에 팔리는 것을 막기위해 일본 대기업들이 뭉친다.

             -일본 대기업 10여개가 도시바 인수전 참여를 검토한다고 한다.

             -일본의 인프라 대기업들로 구성된 인수후보가 등장하면 도시바 인수전의 구도가 크게 바뀔 전망이다.

-후보 가운데 유일한 일본 투자사인 JIP는 일본 국부펀드인 일본투자공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1차 관물을 통과했고 도시바는 이르면 이달말 본입찰을 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막대한 자금력을 보유한 글로벌 PE의 우세가 예상됐다.

             -자금력이 약점으로 지적되는 JIP가 일본 대기업들을 끌어들이면 단숨에 유력 후보로 올라설 것이란 분석이다.

#일본#대기업#컨소시엄#JIP

 

 

찬바람 쌩쌩, 내년이 걱정인 반도체업계

-국내 반도체 1,2위 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나란히 재고 문제를 거론했다,

             -올해 초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반도체 수요가 감소해 두기업의 재고 보유량이 크게 늘어났다.

-반도체는 불화기와 호황기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대표적인 사이클 산업인 만큼 하락세에 접어든 최근 흐림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번 반도체 위기는 수요감소에 기인하는데 금리인상등 영향으로 정보통신 기기 시장이 위축됐고 그결과 반도체 재고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증가했다.

             -이같은 위기는 국내기업에 유도 큰 영행을 미치고 있는데 수요대비 공급과잉이 심각한 메모리 반도체가 국내 기업의 주력 상품이기 때문이다.

-경기전망이 좋지 않음에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두 기업의 관계자들은 지금 투자해야 반도체가 상승 사이클을 탔을 때 경쟁력을 자실수 있을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반도체#찬바람#사이클

 

 

영국 이재용, ARM 인수전 뛰어드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영국을 찾았다.

             -반도체 설계기업 ARM도 방문할 예정이다.

-업계에선 삼성전가자 영국에 본사가 있는 ARM 인수전에 뛰어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ARM은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와 스마트폰의 두뇌로 불리는 AP칩의 설계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예상 인수가가 50조~70조원에 달해 삼성전자가 다른기업과 컨소시엄을 꾸려 공동인수할 수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재용#ARM

 

 

잘나가던 반도체 장비株, 내년엔 '우울'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가 한풀 꺽이면서 일본 반도체 장비 기업들의 내년 순이익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일본 4대 반도체 장비회사의 2023예상 순이익을 총 7154억엔으로 집계했다.

             -지난 6월말에 비해 예상순수익이 12% 감소했다.

-반도체 장비업체들의 순이익이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은 글로벌 경기 부진을 예상한 반도체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반도체 장비 회사들의 현재 주가는 작년 말보다 20~50%하락했다.

#일본#반도체#장비

 

 

용인특례시, 642만㎡ 규모 ‘L자형반도체 벨트 만든다

-경기 용인특례시가 18일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 기업의 집적화를 위한 산업단지를 추가로 조성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용인 L자형 반도체 벨트 조성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했다.

-시는 여기에 반도체 소 부 장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35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처인구에 조성할 계획이다.

             -물량이 배정되면 2025년 산업단지계획을 수립 및 승인하고 2026년부터 단꼐적으로 산업단디 개발 공사에 들어간다.

             -또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의 미래연구 단지가 적기에 조성될 수 있도록 삼성전자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인허가 절차를 신속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용인#반도체벨트

 

 

케이던스, EDA 검증 플랫폼에 AI 기술 적용

-케이던스가 반도체 설계 검증 플랫폼에 인공지능 과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 시스템온침 설계 오류 분석 고도화한다.

             -케이던스는 AI 기반 반도체 검증 플랫폼 ‘베리시움’을 최근 출시했다.

             -반도체 설계문제를 야기하는 버그등 각종 오류를 머신러닝(ML) 기술로 파악,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다.

-케이던스 AI 검증 플랫폼은 ML 모델을 활용해 반도체 설계검증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반도체 설계후 테스트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반복 검증 작업을 자동화 할수 있고 소스코드 비교,오류 잠재서을 정확히 찾는 알고리즘도 제공한다.

             -설계 테스트 통과와 실패 결과를 동시에 비교할 수도 있다.

#케이던스#EDA#베리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