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일지 5

Optimizing short-term memory in transparent neuromorphic devices via microwave treatment: Enhancing transmittance and relaxation time (1)

내꺼내리에서 첫번째로 다룰 논문은  Optimizing short-term memory in transparent neuromorphic devices via microwave treatment: Enhancing transmittance and relaxation time 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이 논문은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일명 Jalcom이라고 불리는 학술지에 2025년 1월에 개재된 논문입니다.Accept 된건 작년12월인데 Published되는데 몇주 정도 더 걸려서 올해 1월 개재되었습니다. Jalcom 학술지는 IF는 5.8정도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금속공학 분야에서 2023기준 JCR 랭킹 상위 8.3%에 있는 꽤 좋은 학술지로 볼 수 있습니..

대학원 오지 마라

100% 저의 경험을 기반으로 말하는 대학원생의 하루를 공유하려합니다.. (올릴 시간이 있을때마다 틈틈히 써보겠음여) 기본적으로 전 세종대 학부 출신에 세종대 석사생입니다. 다들 왜 자대 대학원을 골랐는지 궁금해하더라구여 보통 학점이 좀 낮으면 자대로 가니까 성적이 낮아서, 취업이 안되서 도피를 했냐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쩝 반은 맞는 말이긴함ㅋㅋ) 일단 저는 2학년 말부터 반도체 R&D 분야에 관심이 생겼고, 3학년 1학기부터 학부연구생 생활을 진행했습니다. (학부로 대기업을 간다해도 바로 공장행이라는 괴담도 돌기도 했구여,,) 저는 1학년때 학사경고가 있기도 했고 군대가기 전까지는 학점에 신경을 거의 안쓴편이라 그 당시에 대학원을 간다고 하면 선택지가 없긴 했슴다 ㅋㅋ... 그래도 자존심은..

MD simulation이란?

MD simulation이란 분자동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분자 및 원자 단위에서의 시뮬레이션인데 매우 어렵더라구여;; 저는 lammps라는 무료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비교적 간단한 시뮬레이션만 해보고 있긴합니다.. 연구적으로 좀 필요해서 MD simulation에 대해서 독학중인데 습득한 내용 및 시뮬레이션 시행착오에 대해서 정리해놓을 필요가 있어서 개설한 카테고리입니다. 저도 이분야에 대해서 전공이 아니라 틀린 부분이 매우 많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사실 진짜 맨땅의 헤딩 수준임;;) MD 시뮬 분야의 경우 자료가 진짜 찾기 어려워서 초반에 드럽게 고생한 기억이 있는데.. MD 시뮬 고수분들 댓글로 훈수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