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8

Optimizing short-term memory in transparent neuromorphic devices via microwave treatment: Enhancing transmittance and relaxation time (1)

내꺼내리에서 첫번째로 다룰 논문은  Optimizing short-term memory in transparent neuromorphic devices via microwave treatment: Enhancing transmittance and relaxation time 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이 논문은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일명 Jalcom이라고 불리는 학술지에 2025년 1월에 개재된 논문입니다.Accept 된건 작년12월인데 Published되는데 몇주 정도 더 걸려서 올해 1월 개재되었습니다. Jalcom 학술지는 IF는 5.8정도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지만 금속공학 분야에서 2023기준 JCR 랭킹 상위 8.3%에 있는 꽤 좋은 학술지로 볼 수 있습니..

대학원 오지 마라

100% 저의 경험을 기반으로 말하는 대학원생의 하루를 공유하려합니다.. (올릴 시간이 있을때마다 틈틈히 써보겠음여) 기본적으로 전 세종대 학부 출신에 세종대 석사생입니다. 다들 왜 자대 대학원을 골랐는지 궁금해하더라구여 보통 학점이 좀 낮으면 자대로 가니까 성적이 낮아서, 취업이 안되서 도피를 했냐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쩝 반은 맞는 말이긴함ㅋㅋ) 일단 저는 2학년 말부터 반도체 R&D 분야에 관심이 생겼고, 3학년 1학기부터 학부연구생 생활을 진행했습니다. (학부로 대기업을 간다해도 바로 공장행이라는 괴담도 돌기도 했구여,,) 저는 1학년때 학사경고가 있기도 했고 군대가기 전까지는 학점에 신경을 거의 안쓴편이라 그 당시에 대학원을 간다고 하면 선택지가 없긴 했슴다 ㅋㅋ... 그래도 자존심은..

MD simulation이란?

MD simulation이란 분자동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분자 및 원자 단위에서의 시뮬레이션인데 매우 어렵더라구여;; 저는 lammps라는 무료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비교적 간단한 시뮬레이션만 해보고 있긴합니다.. 연구적으로 좀 필요해서 MD simulation에 대해서 독학중인데 습득한 내용 및 시뮬레이션 시행착오에 대해서 정리해놓을 필요가 있어서 개설한 카테고리입니다. 저도 이분야에 대해서 전공이 아니라 틀린 부분이 매우 많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사실 진짜 맨땅의 헤딩 수준임;;) MD 시뮬 분야의 경우 자료가 진짜 찾기 어려워서 초반에 드럽게 고생한 기억이 있는데.. MD 시뮬 고수분들 댓글로 훈수 부탁드립니다..

23년 3월 31일 반도체 기사

[2보] 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반도체 생산은 17%↓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전산업 생산 지수는 109.4(2020년=100)로 전월보다 0.3% 늘었다. -그러나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 생산이 3.1% 줄고 전기·가스업 생산도 8.0% 줄면서 3.2%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 생산은 전월보다 17.1%, 작년 같은 달보다는 41.8% 급감했는데 반도체 생산의 전월 대비 감소 폭은 2008년 12월(-18.1%) 이후 최대다. 日, 美 손잡고 중국 반도체 규제에 동참 -31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첨단반도체 관련 물품 수출에 경제산업상의 허가가 필요한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하위 규정을 개정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수출 통제 대상 품목은 노광..

23년 3월 30일 반도체 기사

대기업 반도체 세액공제 최대 25%로…'K칩스법' 국회 최종 통과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이른바 'K칩스법'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올해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에 기업이 설비투자를 할 경우 세액 공제 비율을 확대하는 내용이 개정안의 핵심이다. -세액공제율은 대기업·중견기업의 경우 현행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확대된다. -직전 3년간 연평균 투자 금액 대비 투자 증가분에 대해서는 올해에 한해 10%의 추가 공제 혜택도 주어진다. "반도체 공장 하나 더 가능"…'K칩스법' 통과에 업계 "가뭄에 단비" -전 세계 반도체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에도 지지부진했던 K칩스법이 이날 마침내 국회 문턱을 넘어선 것을 두고 업계에선 안도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23년 3월 28일 반도체 기사

"반도체 판매가격까지 공개하라니"..해도 너무한 美...삼성-SK 당혹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가 내놓은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 보조금 신청 세부 지침을 놓고 '해도 너무한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보조금을 신청하는 기업에 예상 현금흐름 등 수익성 지표를 단순한 숫자가 아닌 산출 방식을 검증할 수 있는 엑셀 파일로 제출하도록 했는데 기업이 예상보다 큰 이익을 남기면 초과 이익을 환수하겠다는 방침의 일환이다. -이를 두고 반도체 업계에서는 수율과 가동률 등의 항목은 업체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영업기밀에 해당된다는 입장인데 한 장의 웨이퍼에서 나오는 합격품 비율이 얼마인지에 따라 제품 단가, 기술력 등을 추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핵심 영업기밀이 인텔 등 미국 업체..

23년 3월 27일 반도체 기사

'학과 신설에 입법 지원' 상생 1호 반도체 특화단지 잰걸음 -민선 8기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 1호 사업으로 야심차게 추진중인 반도체 특화단지와 관련해 관련 학과가 신설되고, 국회 차원에서 입법지원에 나서는 등 전방위적 협력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광주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강기정 시장, 이형석, 양향자 국회의원, 송재혁,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 등이 참석한 가운데 GIST-삼성전자 반도체공학과(계약학과) 신설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에 따라 정부와 광주시, 기업, 대학은 신설 학위과정을 협의해 개설, 운영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대구·광주·울산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삼성전자는 3월 27일 한국과학기술원에 이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광주과학기..

23년 3월 24일 반도체 기사

추경호 "한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공급망 협력…항공편 증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용인에 조성될 반도체 클러스터에 한일 간 공급망 협력을 구체화하고 항공편을 늘리기 위한 작업에도 착수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추 부총리는 "양국 인적 교류를 관계 악화 이전 수준으로 회복해 나가겠다"며 "연간 청소년1만명, 국민 1천만명 교류 달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양국 간 항공편 증편 작업에 조속히 착수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딥엑스와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 협력 -현대차·기아는 의왕연구소에서 현동진 로보틱스랩장 상무와 김녹원 딥엑스 대표이사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기아의..